대형 SUV 구매를 고민 중이라면 세금 부담이 가장 큰 고민입니다.
2026년 팰리세이드 구매 시 실제 납부해야 하는 세금을 정확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연간 자동차세




팰리세이드 자동차세는 배기량과 차령에 따라 결정됩니다.
2.2 디젤 모델은 배기량 2,199cc 기준으로 연간 약 57만 3천원에서 60만원 사이입니다.
3.8 가솔린 모델은 배기량 3,778cc로 연간 약 95만원에서 99만원 수준입니다.
| 모델 | 배기량 | 연간 자동차세 | 1월 일시납 할인액 |
|---|---|---|---|
| 2.2 디젤 | 2,199cc | 573,570원 | 약 51,621원 |
| 3.8 가솔린 | 3,778cc | 984,020원 | 약 88,562원 |
자동차세는 매년 6월과 12월 두 차례 분납하거나, 1월에 일시납 시 약 9%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디젤 모델 기준 1월 일시납 시 약 5만원 이상 절약 가능합니다.
2. 신차 취득세
취득세는 차량 가격에 비례하며 2026년 현재 승용차 기준 7%가 적용됩니다.
팰리세이드 트림별 출고가에 따라 취득세가 달라집니다.
르블랑 트림 기준 약 4,500만원대라면 취득세는 약 315만원 수준입니다.
캘리그래피 트림 기준 약 5,500만원대라면 취득세는 약 385만원입니다.
| 트림 | 예상 출고가 | 취득세(7%) | 등록비 포함 |
|---|---|---|---|
| 르블랑 | 약 4,500만원 | 약 315만원 | 약 330만원 |
| 캘리그래피 | 약 5,500만원 | 약 385만원 | 약 400만원 |
취득세 외에 등록비와 번호판 발급비 등 부대 비용으로 약 15만원 추가됩니다.
3. 개별소비세 혜택
2026년 현재 개별소비세는 차량 가격의 5%에서 감면되어 3.5%가 적용됩니다.
이 감면 정책은 2024년부터 시행 중이며, 2026년 하반기까지 연장 적용됩니다.
팰리세이드는 7인승 기준으로 개별소비세 감면 대상이며, 차량 가격의 3.5%가 부과됩니다.
4,500만원 차량 기준 개별소비세는 약 157만 5천원이며, 여기에 교육세 30%와 부가가치세 10%가 추가됩니다.
✅ 9인승 모델 선택 시 개별소비세 전액 면제되어 약 200만원 이상 절감할 수 있습니다.
4. 하이브리드 모델 세금
2026년 팰리세이드에는 하이브리드 모델이 추가될 예정입니다.
하이브리드 모델은 개별소비세 최대 100만원 추가 감면 혜택이 적용됩니다.
취득세는 동일하게 7%가 부과되지만, 연간 자동차세는 약 13만원 감면됩니다.
하이브리드 전용 번호판 발급 시 공영주차장 50% 할인과 혼잡통행료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.
5. 월 유지비 계산
팰리세이드 디젤 모델 기준 월 유지비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자동차세: 약 4만 8천원 (연간 57만원 ÷ 12개월)
- 자동차보험: 약 12만원에서 18만원 (연령과 할인율에 따라 변동)
- 연료비: 월 1,000km 기준 약 15만원 (디젤 가격 1,600원 기준)
- 정비 및 소모품: 월 약 5만원 (타이어, 오일 등 평균)
월 평균 유지비는 약 37만원에서 43만원 수준입니다.
✅ 가솔린 모델은 자동차세가 월 약 8만원으로 디젤 대비 3만원 더 높습니다.
6. 차령별 세금 변화




자동차세는 차량 연식이 오래될수록 감면됩니다.
신차 등록 후 3년차부터 매년 5%씩 자동차세가 감소합니다.
12년이 지나면 자동차세가 최대 50% 감면되어 디젤 모델 기준 약 28만원 수준으로 낮아집니다.
2.2 디젤 모델 기준 차령별 자동차세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신차~2년: 약 57만원
- 3년~5년: 약 54만원
- 6년~8년: 약 48만원
- 9년~11년: 약 40만원
- 12년 이상: 약 28만원
7. 지역별 세금 차이
자동차세는 전국 동일하게 적용되지만, 취득세는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.
서울과 수도권 지역은 취득세 7%에 지방교육세 0.4%가 추가됩니다.
비수도권 일부 지역은 인구 감소 지역 감면 혜택으로 취득세가 0.5% 낮을 수 있습니다.
✅ 전기차나 수소차와 달리 일반 내연기관은 지역별 추가 감면 혜택이 거의 없습니다.
8. 세금 절약 방법
9인승 모델을 선택하면 개별소비세 전액 면제로 약 200만원 절약할 수 있습니다.
자동차세는 1월 일시납 시 9% 할인이 적용되어 연간 5만원에서 9만원 절감됩니다.
하이브리드 모델 선택 시 개별소비세 추가 감면과 연간 자동차세 13만원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리스나 장기렌트 이용 시 취득세와 자동차세를 월납으로 분산시켜 초기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법인 명의 구매 시 비용 처리 가능하지만, 개인 사용 시 세무 이슈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.
9. 2026년 세제 변경
2026년 상반기까지 개별소비세 1.5% 할인 정책이 유지됩니다.
하반기 정책 연장 여부는 정부 발표를 확인해야 하며, 연장되지 않으면 차량 가격 약 70만원 상승 가능성이 있습니다.
하이브리드 차량 개별소비세 감면 한도가 기존 100만원에서 150만원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.
✅ 구매 시기를 조율할 수 있다면 세제 혜택 종료 전 계약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10. 실제 납부 일정
신차 등록 시 취득세는 등록일로부터 30일 이내 납부해야 합니다.
자동차세는 연 2회 6월과 12월에 부과되며, 각각 상반기와 하반기 세액을 분납합니다.
1월 일시납 신청은 매년 1월 16일부터 31일까지이며, 기간 내 납부 시 9% 할인 적용됩니다.
개별소비세와 부가가치세는 차량 출고가에 포함되어 별도 납부 절차가 없습니다.
2026년 팰리세이드 구매 시 디젤 모델 기준 연간 자동차세 약 57만원, 신차 취득세 약 315만원에서 385만원이 발생합니다. 9인승 선택이나 1월 일시납 활용으로 상당한 세금 절감이 가능하니, 구매 전 꼼꼼한 비교가 필요합니다.